나라
기니비사우
16세기 말 포르투갈의 영토가 되었다. 1956년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이 결성되어 무장 게릴라전을 전개하여 1974년 9월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고 유엔에 가입했다. 쿠데타와 내전의 역사가 반복되면서 마약 밀매 거점 국가로 전락한 상태다. 주민은 발란테·풀라니·말링케·만자코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446년 포르투갈인에 의해 발견되어 포르투갈 최초의 해외 식민지가 되었고 17~18세기에 걸쳐 노예 무역으로 번성하였으며, 1879년 이후 포르투갈령 기니가 되었다.
모잠비크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8.3%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였다. 모잠비크의 주요 수출품은 다이아몬드와 무연탄이며, 광업과 농업의 비중이 높다. 최근 다이아몬드의 사용량이 급감함에 따라 재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75년 사모라 마셸 대통령이 포르투갈로부터 모잠비크를 독립시켰고 그의 부인 그라사 마셸은 아프리카 여성 최초로 교육부 장관이 되기도 했다. 1986년 마셸이 비행기 사고로 죽자 내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지도 카보베르데 공화국(카보베르데共和國,, ), 줄여서 카보베르데는 아프리카 서쪽 대서양에 있는 국가이다. 영어로 케이프베르데(Cape Verde)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16세기경에는 노예 무역이 번성하였으나, 때때로 해적의 습격을 받기도 하였다. 노예 무역의 결과,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이 카보베르데로 끌려왔으며, 이들이 오늘날 카보베르데인의 조상이다. 노예 무역의 쇠퇴 이후에는 대서양 항로의 중간 거점항, 보급항으로서 번성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아프리카에서 민족주의 열풍이 거세지면서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이라는 조직을 중심으로 한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다. 1974년 포르투갈에서 일어난 카네이션 혁명 이후에는 이들의 독립이 가시화되었다. 1975년 7월 5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했다. 2007년 9월 현재 IAEA(국제원자력기구)에 가입을 신청하였다.
상투메 프린시페
1471년 포르투갈인이 발견하기까지는 무인도였으며, 1483년부터 포르투갈 본국으로부터의 유형수와 노예로서의 아프리카인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당시는 서인도 제도에 앞서서 사탕수수의 플랜테이션 농업이 시도되어 16세기 전반까지 이 섬의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얼마 안 가서 그 중심은 서인도 제도로 옮겨졌으며, 그 대신 이 섬은 앙골라로부터의 노예 무역의 중계 기지가 되었다. 19세기에 노예 무역이 폐지되면서 카카오와 커피의 플랜테이션 농업이 시작되어 현재 이 나라의 주산업이 되었다. 1885년 베를린 회의에서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승인되었으며, 1951년 포르투갈의 해외주가 되었다. 1960년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상투메프린시페 해방위원회(CLSTP)가 창설되었고, CLSTP는 1972년 마누엘 핀투 다 코스타의 지도로 상투메프린시페 해방운동(MLSTP)으로 개칭되었다. MLSTP의 투쟁은 지하 활동, 특히 지방 노동자에 의한 저임금 반대 투쟁의 형태로 행해졌다. 1974년 4월 민주화 마누엘 핀투 다 코스타에 의해 성립된 포르투갈 새 정권은 상투메프린시페의 독립을 승인, 같은 해 11월 독립 협정에 조인했으며, 1975년 7월 12일 정식으로 독립되어 MLSTP의 코스타 서기장이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독립을 한 후에도 1979년까지 빈번하게 쿠데타 미수사건이 잇따랐고, 1981년에는 식량 부족으로 폭동이 발생하였다.
앙골라
앙골라의 주 앙골라 공화국(-共和國, ), 줄여서 앙골라는 아프리카 남서부에 있는 국가이다. 남쪽은 나미비아, 북쪽은 콩고 민주 공화국, 동쪽은 잠비아와 접한다. 서쪽은 대서양을 닿고 있다. 월경지인 카빈다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을 접한다.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앙골라는 원유와 다이아몬드 등의 자연 자원이 풍부한 나라다. 1996-2005년 기간 동안 연평균 8.5%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였다. 현재 대통령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산투스가 36년 8개월 이상을 집권하고 있다. 또 현재 세계에서 2위로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이다.
마카오
마카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마카오 특별행정구이다. 가까운 도시로는 주하이가 있다. 마카오는 1888년에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1999년 12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양되었다.
1553년(명나라 가정(嘉靖) 31년), 포르투갈은 현지 관리에게 화물이 젖어서 육지에서 말리고 싶다는 구실로 뇌물을 주고 마카오 체류를 인정받았고, 4년 뒤부터는 뇌물을 매년 건네면서 본격적으로 마카오에 눌러앉게 되었다. 1572년부터는 명나라 조정도 매년 500냥의 지대(地代)를 바치는 것을 조건으로 포르투갈인의 마카오 거주권을 인정하였다. 해적 정벌을 원조한 공적으로 포르투갈인에게 마카오 거주권을 주었다는 설(說)은 18세기에 포르투갈인이 창작한 이야기이다. 처음 정착할 당시 포르투갈인이 도교 사원인 마쭈거(媽祖閣) 근처에 살았는데, 현지인에게 그곳의 지명을 물으니 현지인은 사원의 이름을 묻는 것으로 착각하여 "마쭈거"라고 알려주었는데, 이를 잘못 알아들어 마카오라고 부른 것이 현재 이름이 되었다.
저지 섬
저지섬(Bailiwick of Jersey,, 저지어: Jèrri)은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에 자리 잡은, 채널 제도의 영국 왕실령 섬이다. 주도인 세인트헬리어는 잉글랜드의 웨이머스에서 160킬로미터 남쪽에 있다. 서북쪽으로 9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에크레후스 암초와 남쪽으로 9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레밍키에르는 저지 지방행정관의 관할구역에 속한다. 2003년 기준 인구는 8만 7700명이다.
11세기의 문헌은 이 섬이 쿠탕스 주교구에 속했으며, 12개 교회구로 나뉘어 있었음을 알려준다. 12세기에는 노르망디 지주들이 섬을 지배했으며, 세입 징수를 위해 3개 행정구로 나누었다. 1204년 노르망디 공국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행정개편이 필요하게 되었다. 노르망디 법과 지방관습은 유지되었으나 다른 섬들과 함께 감독관이나 때로 영주가 국왕을 대리하여 통치했다. 15세기말경에는 저지를 전담하는 행정장관이 부임했다. 후에 총독으로 불린 행정장관의 직책은 1854년에 폐지되고 부총독이 직책을 인수하여 지금도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브롤터
지브롤터는 지중해의 대서양 방향 입구로, 이베리아 반도 남부에 있는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북쪽으로는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지방과 접하고 있다. 면적은 6.8km 2, 인구는 2012년 기준으로 3만명이다.
1704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에 영국과 네덜란드 연합군이 스페인에 속해있던 지브롤터를 점령했다. 지브롤터의 이름은 "타리크의 산"을 뜻하는 아랍어 이름인 "자발 타리크"에 기원을 둔다.
포르투갈
포르투갈, 정식 명칭 포르투갈 공화국은 유럽 서남부에 위치한 나라로, 이베리아 반도의 서부와 북대서양 상의 군도들을 그 영토로 한다. 국토의 총 면적은 92,090 km² 로, 동쪽과 북쪽은 스페인, 서쪽과 남쪽은 대서양을 맞댄 대륙부와 대서양 상의 두 자치지역인 아소르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포르투갈은 유럽 대륙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나라이다. 이름은 제2의 도시 포르투의 라틴어 이름 "포르투스 칼레"에서 유래하였다.
오늘날 포르투갈의 국경 안에 포함된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계속 사람이 거주해 왔다. 갈라이키족과 루시타니족 같은 켈트인들은 후에 로마 공화정에 통합되었고, 이후 수에비족과 서고트족 같은 게르만족이 정착하였다. 8세기부터는 무어인이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하기 시작한다. 기독교도의 헤콩키스타 도중에 초기엔 갈리시아 왕국, 후엔 레온 왕국의 일부로 포르투칼레 백작령이 성립된다. 1139년 포르투갈 왕국의 성립과 1143년 독립 승인, 1249년 국경의 확립을 통해 포르투갈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 국가로 거듭난다.
버뮤다
버뮤다는 대서양에 있는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미국 해안에서 동쪽으로 약 600 마일, 캐나다 해안에서 남쪽으로 800 마일 떨어져 있다. 수도는 해밀턴으로, 가장 큰 섬에 있다.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하며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영국 자치령이지만 지리적으로 미국과 가까워 미국 영어를 사용한다.
1503년 스페인의 탐험가인 후안 데 베르무데스(Juan de Bermúdez)에 의해 발견되었다. 버뮤다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된 이름이다. 1609년 버지니아 식민지로 가는 영국인 정착민들을 태운 영국의 기함인 시 벤처 호(Sea Venture)가 이 곳에서 허리케인을 만나면서 난파했다.
동티모르
* 1520년부터 400여 년간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음.
* 1702년 동티모르가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편입
브라질
브라질은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나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면적이 넓고 인구도 2억 명이 넘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유일하게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브라질 포르투갈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총생산(GDP) 순위는 세계 8위이다. 해안 지역에 집중된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19세기 초에 포르투갈의 수도이기도 했던 남서부 해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960년에 중부 내륙의 브라질리아로 수도를 옮겼다. 삼바와 카니발의 본고장이며, 축구 강국으로도 유명하다.